나는 왜 고전수필을 쓰는가? 나는 왜 고전수필을 쓰는가? 김성복 무애(無涯) 양주동(梁柱東) 은 영문학자였다. 그런데 일본 학자인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 교수가 신라의 향가(鄕歌)와 이두(吏讀)를 연구 하는 것에 충격을 받고 우리의 향가와 고시가 연구에 눈을 돌려 ‘고가연구(古歌硏究)’와 ‘여요전주(麗謠箋註)’를 펴냈.. *자료실* 2010.01.28
이 작품은 수필일까, 소설일까? -생각해 보기- 이 작품은 수필일까, 소설일까? 수필로 보는 이유? 소설로 보는 이유? 먹 배 오세윤(수필세계 필진) 중국 문학기행 이틀째, 이백(李白)의 고리(故里)인 강유(江油)에서는 특히나 음식이 입에 맞지 않았다. 모든 음식에 고수라는 독특한 향초가 들어가서인지 아니면 기름끼 때문인지 느글거.. *자료실* 2010.01.28
교훈과 깨달음, 지식과 지혜 교훈과 깨달음, 지식과 지혜 문학의 2대 기능으로 쾌락성과 교도성을 들고 있다. 문학 작품은 방법은 다를 지라도 교도성을 띠게 된다. 문학은 교육이 아니므로 직설적인 교도, 설득, 설파는 거부감을 갖게 한다. 문학작품은 감동을 통해 변화를 가져오게 해야 한다. 작자가 독자들 보다 높은 위치에서,.. *자료실* 2010.01.28
드러내기와 드러내지 않기 드러내기와 드러내지 않기 수필은 자신을 드러내는 글이다. 자조문학(自照文學), 고백문학이라고도 한다. 자신의 삶과 인생을 거울에 비춰내듯 드러내는 글이다. 허위, 과장이 아닌 진실과 순수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독자들에게 친근감을 준다. 수필은 자신의 삶과 인생을 드러내는 모습을 취하고, .. *자료실* 2010.01.28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문학의 소재 발견이나 창작에 있어서 시각(視覺), 청각(聽覺), 후각(嗅覺), 미각(味覺), 촉각(觸覺) 등 5감각(感覺) 기능을 잘 이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보는 것은 글을 쓰고 싶은 동기를 제공하고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게 하는 중요한 정보기능을 한다. 숱한 소재들.. *자료실* 2010.01.28
기록과 수필 기록과 수필 기록은 사실의 객관적인 서술이다. 주관적인 진술을 배제한다. 인간의 삶과 인생을 그리는 데 있어선 사실의 전말을 서술하는 것만으론 만족스럽지 못하다. 사실과 행위에 대한 기록의 차원을 넘어 자신의 느낌과 견해를 표현하고 싶어 한다. 수필의 구성에 있어서도 체험(사실)과 느낌(.. *자료실* 2010.01.28
말이 통하지 않는다 말이 통하지 않는다 나폴레옹이 이탈리아 원정을 위해 알프스를 넘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19세기 프랑스 화가 자크 루이 다비드는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이라는 그림을 그렸다. 이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우스개 이야기가 있다. 알프스를 등정하기 위해 병사를 끌고 산 아.. *자료실* 2010.01.28
은유 -“내 마음은 호수요?” 은유적 표현이다. ‘내 마음’이라는 보이지 않는 것(원관념)을 ‘호수’(보조관념)라는 구체적인 것으로 바꿔 말함으로써 내 마음의 상태를 전달하고 있다. 이 표현은 전형적인 은유의 형식을 보여 준다. 그런데 이 표현은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우리 나라.. *자료실* 2010.01.28
문학의 어려움 문학의 어려움 ≠ 문학어의 어려움 소설이나 시 작품을 이해하기 힘들 때가 있다. 왜 이해하기 힘든 것일까? 사용하는 말이 달라서? 물론 가끔 낯선 어휘가 작품 감상을 방해하기도 한다. 하지만 다 아는 어휘들로 만들어진 작품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사실 문학만 어려운 것도 아니다. 우리는 누구.. *자료실* 2010.01.28
왜 재미없고 어렵기만 할까? - 왜 재미없고 어렵기만 할까? ․교훈을 찾으려는 엄숙주의 초등 학생들이 쓴 독후감은 대개 ‘나도 이런 점을 본받아 열심히 공부해야겠다.’는 식의 상투적인 결심으로 끝난다. 이런 관점으로 숙제하듯이 접근하면 문학이 재미 없어질 수 밖에……. ․지식의 과잉 야구(문학)의 규칙을 알면 야구(문.. *자료실* 2010.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