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수필의 문체

아리솔솔 2010. 1. 28. 15:28

수필의 문체

 

수필의 문체는 문장 진술 방식과 표현 기교에 따라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문장 진술 방식에는 설명, 묘사, 서사, 논증 등이 있는데, 이 방식은 수필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설명은 어떤 사물이나 사실을 알기 쉽게 풀이하여 이해시키는 진술 방식이다. 객관적인 태도를 견지하기 때문에 사물의 현상이나 본질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절하다.
 묘사는 사물의 모습이나 상황을 보여 주듯이 그려 내는 진술 방식이다. 어떤 대상에서 받은 인상이나 감각적 체험을 그대로 그리기 때문에 주로 서정적 수필에서 많이 사용한다. 설명이 독자의 이해력에 호소하는 데 대해, 묘사는 감각에 호소한다는 점이 다르다.
 서사는 일정한 이야기(story)를 시간이나 공간의 순서에 따라 진술하는 방식이다. 사건의 직접적인 인상과 목격자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편리하기 때문에 서사적 수필에서 많이 사용한다. 묘사가 고정된 대상의 모습을 제시하는 데 대해, 서사는 움직이는 대상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시한다는 점이 다르다.
 논증은 아직 명백하지 않은 사실이나 원리에 대하여 그 진실 여부를 밝히는 진술 방식이다. 논리성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독자의 생각, 태도, 감정 등을 필자의 주장, 의견, 판단에 따르게 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경수필보다는 중수필에 사용된다. 설명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데 대해, 논증은 설득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이 다르다.
 그러나 다른 모든 문학 갈래에서도 그렇듯이, 하나의 작품이 설명, 묘사, 서사, 논증 가운데 어느 한 가지 진술 방식만으로 이루어진 수필은 거의 없다고 보아도 좋다. 이들을 작품 전체의 구조에 맞추어 적절히 섞어서 구사함으로써 주제를 구현하는 것이 수필의 일반적 진술 방식이다.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필의 정체성 찾기  (0) 2010.01.28
수필의 내용과 주제  (0) 2010.01.28
수필의 구성(2)  (0) 2010.01.12
수필문학입문15강-수필 착상하기  (0) 2010.01.10
수필문학입문14강-관찰하는 눈  (0) 2010.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