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문학 입문 1
글을 읽지 않고 글을 쓰려는 것은 밑천 없이 장사하려는 격이라고 했다. 그러나 아무리 많이 읽어도 써보지 아니하면 이른바 眼高手卑格이어서 좋은 글을 못 쓴다. 목수나 석공이 되려면 먼저 끌로 구멍을 파고 대패질을 하는데, 징을 대고 망치질을 하는데 많은 修鍊을 쌓은 뒤라야 비로소 공예품이나 조각에 착수할 수 있다. 글을 쓰려면 우선 많은 습작과 수련이 필요하다. 소설이나 시는 여러 회의 추천을 받아야 문단에 등단한다. 推薦制가 좋고 나쁜것은 별개 문제로 하고 추천을 받기 위해서는 많은 수련을 거쳤을 것은 사실이다. 그러니 수필이라고 대번에 써서 될 리가 없다. 이것이 현재 수필다운 수필이 드문 이유의 하나다. 구양수는 단 다섯자를 쓰기 위하여 數十枚의 원고를 버렸고, 陸放翁은 萬數千首의 글을 쓴 시인이지만 八千首가 넘은 뒤에야 남앞에서 서슴지 않을 시를 쓸 수 있었다고 술회하고 있었다.
이태백이 쇠절구공이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말을 듣고 다시 들어가 공부했다는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하지 아니한가. 천재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서투른 글을 빨리 발표할 것이 아니다. 자기의 글이 처음 활자화되었을 때 기쁨이란 크다. 그러나 두고두고 후회할 때가 많다. 반드시 직업 문인이 될 필요도 없고 문단인과의 交遊, 문학단체에 참가함으로써 문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스스로 분투하고 스스로 생각하는 고독의 길만이 스스로 자기를 키워나가는 일이다. 원래 수필은 고독의 소산이다. 이것이 싫으면 정치활동이나 사회활동을 할 일이다. 그러면 수필이란 현실 도피의 문학인가 하고 반문할 것이다. 그야 참여 문학일 수도 있고 비판, 투쟁, 혁명의 문학일수도 있다. 그러나 文藝란 技術이 필요하고, 技術이란 鍊磨가 필요하고, 여기에는 일정한 연마의 기간이 필요한 것이다. 혹 어떤 사람은 이런 말을 한다. 저 혼자 대성하기를 기다리고 앉았으면 이미 두각을 나타낼 기회를 놓친다. 우선 한자리 뚫고 앉아서 정진해야 한다고. 그 말에는 일리가 있다. 그러나 당선 작가나 출세한 작가들이 그 후에는 매너리즘에 빠지는 예가 많고 기성 작가들도 얼마 안 가서 관록으로 한몫 보고 있는 예가 적지 않다는 사실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또 당나라때 시인 崔顥는 黃鶴樓詩 한편으로 李白을 압도하고 唐詩壇의 제일인자로 후세에 길이 빛나고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단 한편이라도 걸작을 낼 수 있다면 많이 발표하지 않을 것을 한탄할 것도 없지 아니한가. 지금 우리 나라에서 수필다운 수필이 별로 없는 것도 오로지 기초적인 수련의 과정을 밟지 아니했다는데 중대한 원인이 있다는 것이다. 세계적으로도 수필이 다른 문학보다 수준이 낮다고 할 것이니, 이것도 소설이나 시나 평론을 쓰는 문학가가 그 餘力을 빌어 쓴 것 외에 專攻家가 드물다는데 원인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기초적인 수련으로부터 출발한다면 일약 雄飛하여 수필문학의 개척자로서의 영광을 거둘 수 있는 절호의 기회도 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초심자에게 커다란 야망을 갖고 원대한 출범이 있기를 바라고 싶다.
다음은 글을 썼으면 몇번이고 몇번이고 퇴고를 거듭할 것이다. 一瀉千里의 速筆이 재주가 아니다. 한 자 한 자 쪼고 쪼아서 정밀하게 다듬어 나간다는 것은 가장 귀중한 일이다. 또 방망이를 못 맞은 글이란 자기 만족에 그치고 때를 벗지 못한다. 소설이나 시는 평론가의 입에 오르내리기도 하지만 수필은 평론하는 이가 드물기 때문에 항상 自己流에서 만족하고 만다는 것도 수필이 발전하지 못하는 또 하나의 원인이다. 그러므로 친구나 선배의 비평을 듣기에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만일 칭찬하는 이가 있으면 두 번 찾아갈 필요가 없지만 결함을 지적해주는 사람이 있다면 藥石으로 알고 고마워해야 한다. 사람의 마음이란 간사해서 칭찬 받기를 좋아하고 헐뜯기는 것을 싫어하는 까닭에 이것이 항상 어려운 것이다. 자기 글의 결함을 밝혀주는 사람을 찾아야 한다.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필세계 2009 상반기 신인상 발표 (0) | 2009.09.16 |
---|---|
[스크랩] 블로거가 갖추어야 될 7가지 능력을 패러디 해보았습니다 (0) | 2009.09.16 |
수필창작문장론<2> (0) | 2009.09.05 |
수필문장창작론<1> (0) | 2009.09.05 |
시 창작 초기에 나타나는 고쳐야 할 표현들2/ 도종환 (0) | 2009.09.05 |